판다스(Pandas) 튜토리얼(Tutorial) - 데이터 보기(data view)
- 패키지 import
- 데이터 보기
데이터 프레임의 상단과 하단 행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13] df.head 메소드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이 최상단부터 출력되고 입력 값이 없는 경우 디폴트 값인 5개가 출력된다.
숫자 값을 입력하게 되면, 입력한 값 만큼 최상단부터 출력된다.
[14] df.tail 메소드를 통해 데이터 프레임이 최하단부터 출력되고 입력 값이 없는 경우 디폴트 값인 5개가 출력된다.
숫자 값을 입력하게 되면, 입력한 값 만큼 최하단부터 출력된다.
인덱스와 컬럼을 보는 방법을 다음과 같다.
[15] df.index 메소드를 통해 df에 존제하는 index 값을 출력한다.
[16] df.index 메소드를 통해 df에 존제하는 column 값을 출력한다.
DataFrame을 array type으로 변경하여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17] df.to_numpy 메소드를 통해 df의 각 행을 array로 변환해준다.
[18] df2.to_numpy 메소드를 통해 df2의 각 행열을 array로 변환해준다.
데이터 프레임을 통계 요약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19] df.describe 메소드를 통해서 df의 통계 수치를 각 컬럼 기준으로 보여준다.
데이터 프레임의 X축과 Y축을 변경하여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20] df.T 메소드를 통해 기존 df에서 X축과 Y축을 바꾸어서 보여준다
컬럼 값 기준으로 정렬하여서 데이터 프레임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21] df.sort_index 메소드를 통해 컬럼들을 내림 차순으로 정렬하여 보여준다.
* ascending = True로 옵션을 바꾸면 오름차순으로 보여준다.
특정 옵션 기준으로 정렬하여서 데이터 프레임을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.
[22] df.sort_values 메소드를 통해 입력된 옵션 기준으로 정렬하여 보여준다.